SDF 다이어리

Ep.116

Ep.116‘인간 정치인 vs AI 정치인’ 승자는?

2022.08.31
안녕하세요! 벌써 8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폭우와 폭염으로 우리를 힘들게 했던 여름이 언제 그랬냐는 듯 저물고, 그 자리를 선선한 바람이 대신하네요. 다음 주 추석이 지나면 가을은 더 짙어지겠죠. 여름의 끝자락에서 ‘SDF 다이어리’ 배달해드리겠습니다.

그림 하나 보여 드릴게요. 많이 본 것 같지 않으세요? 이 그림과 이 구도… 틀림없이 눈에 익은데, 어딘가 조금 낯선 것 같기도 하고…
‘오픈AI’라는 미국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연구소가 있습니다. 그곳에서 엄청난 양의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한 것을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을 그려주는 ‘달리2(DALL·E2)’를 개발했는데요, ‘달리2’가 조르주 쇠라(Georges Seurat)의 화풍을 유지한 채 ‘그랑드 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를 재해석해 이미지를 생성한 겁니다. 원래 그림은 아래와 같죠.
▲출처/오픈AI 홈페이지
최근엔 시를 쓰는 인공지능 ‘시아(SIA)’도 등장했다고 하고요, 안무를 고안해내는 ‘AI 마디’와 작곡하는 ‘AI 이봄’은 이미 많은 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엔 구글이 개발 중인 AI 챗봇 ‘람다(LaMDA)’가 인간과 같은 ‘자의식’이 있다고 주장해서, AI 인격체와 자의식에 대한 논란까지 일었었죠.
▲출처/게티이미지
인공지능이 인간의 예술적 창의성까지 넘보고, 인공지능에게 법적 권리를 줄 것인가를 놓고 토론하는 시대인데, 그러면… 인공지능이 아예 정치까지 해도 되지 않을까요? 국민을 통합하기는커녕 진영 논리에 빠져 계속 갈등만 양산하고, 그것도 모자라 국민을 편 가르고 혐오하는 그런 정치인들보다는, 인공지능이 정치를 더 잘할 것 같은데요, SDF팀이 ‘민주주의 위기’에 꽂혀 있다 보니 이런 생각까지 다하게 되네요.

혹시나 우리와 같은 생각을 한 기관이 없나 하고 여기저기 알아보다가 지난해 스페인 IE대학교 정부변혁센터(The Center for the Governance of Change)가 ‘유로피언 테크 인사이트(European Tech Insights)’를 통해 발표한 내용을 보게 됐습니다.
▲출처/스페인 IE대학교 정부변혁센터
이 기관은 전 세계 2,769명에게 “국회의원의 의석수를 줄이고 그 자리에 인공지능으로 대체하는 것에 어떻게 생각하나요?”라고 물어봤는데요, 물론 인공지능의 한계에 대해서도 충분히 알려줬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유럽인의 51%가 국회의원을 인공지능으로 대체하는 것에 찬성했다고 합니다. 국가 별로 보면 스페인 66%, 이탈리아 59%, 에스토니아 56%, 폴란드 55%, 프랑스 52%가 동의했습니다. 25살부터 34살 사이 이른바 청년세대 찬성률은 60%나 됐고요.
▲출처/스페인 IE대학교 정부변혁센터
이 센터의 오스카 존슨(Oscar Jonsson) 박사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치 양극화’가 증가하고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다보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면서 시대정신이 반영된 이 결과가 놀랍지는 않다고 밝혔습니다. 정치인에 대한 불만과 불신이 높은 건 어느 나라나 같나 보네요.

영화 ‘아이 로봇’이나 ‘터미네이터’에 나온 인공지능 로봇이 국회 본회장에 앉아있는 게 가능한 일일까요? 정치(政治)는 나라의 일을 다스리는 것을 말하는데, 정치의 주체가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으로 바뀌면 다른 문제는 없을까요? 이런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Science Communicator)’인 이정모 국립과천과학관장을 만났습니다.
Q. 관장님, 시간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관장님은 평소에 자신을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라고 소개하시는데요, 왜 그렇게 말씀하시는지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가 왜 필요할까요? 과학자들의 연구는 다 시민의 것입니다. 국민 세금이 안 들어가는 게 하나도 없거든요. 그러니까 과학자들의 연구가 시민에게 전달이 되어야 하는데, 과학자는 너무 바쁘기도 하고 시민들과는 약간 다른 언어를 사용합니다. 우리는 ‘자연어’를 쓰지만, 과학자들의 언어는 수학이라고 하는 ‘비자연어’이거든요. 그래서 말이 잘 통하지 않아요. 그래서 통역하는 사람이 필요하죠.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가 바로 그 역할을 하는 것이고요.
Q. 인공지능이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예술 분야도 넘보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 하시는지요?
인공지능이 바둑을 두고 그림을 그리고 작곡을 하고 시를 쓰고… 인공지능은 이미 사람의 단계를 뛰어넘고 있어요. (이런 것을 보면) 인간의 영역이 따로 있는 것 같지는 않아요. 예술 분야는 인공지능의 영역이 아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그렇지가 않네요. 생각해보면 우리의 예술적인 감성도 교육에 의해서 오는 거잖아요. 뇌에서 일어나는 작용이고. 감정도 뇌에서 일어나는 것이고. 당연히 인공지능도 우리와 같은 감정을 가질 수가 있고… 우리처럼 예술적인 활동도 할 수 있는 거죠.
Q. 인공지능이 판사·의사·변호사 등 이른바 '~사(士, 師, 使, 事)'자 붙은 직업에도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더라고요.
머리 쓰는 일이 아닌 다른 분야에 인공지능을 쓸 이유가 없어요. 계산을 많이 하고 자료를 빨리 찾고 논리를 세워야 하는 분야에 있어서 인공지능이 일을 제일 잘 하니까요. 흔히 말하는 '~사'자가 붙은 일들이죠. 그런 게 아니면 굳이 우리가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을 필요도 없고요. 그러니까 (인공지능으로부터) 가장 위협을 받는 직업은 지적 능력을 필요로 하는 정신노동자들의 일입니다.
Q. 스페인 IE대학교 정부변혁센터에서 조사를 했는데, 유럽인의 51%가 국회의원을 인공지능으로 대체하는 것에 찬성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여론조사를 하면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 같은데요, 그러면 ‘AI 정치인’이 나올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은 자기 혼자 생각하는 게 아니라, 사람들의 생각을 데이터로 받아서 학습하고 결정하는 거예요. 그래서 인공지능이 욕을 하고, 인공지능이 성차별도 하고, 인공지능이 인종 차별을 하는 거예요. 인공지능이 못됐기 때문에 그러는 게 아니라, 사람들의 생각이 인공지능에 반영이 됐기 때문인 거죠. 그렇다면, 이렇게 학습한 인공지능이 ‘정치’를 한다면 그 결과는 결국 마찬가지 아닐까요? 사람들이 볼 때 정치인들이 잘난 척은 하고 있지, 뭔가 대접 받고 있지, 그러니까 정치인 말고 인공지능이 (정치를) 했으면 하는 건데, 결과에서 큰 차이는 없을 거예요.
Q. 인공지능이 지금의 좋지 않은 정치 현상을 그대로 학습하게 될 텐데 그러면, ‘AI 정치인’의 모습도 그와 비슷할 거라는 얘기인 거죠?
그렇죠. 인공지능은 스스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결국 인간들의 생각을 반영할 뿐입니다. 사람들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어떤 정책들을 SNS 등 어딘가에 표현할 수밖에 없으니까 (인공지능이) 이걸 수집을 해서 그래프를 그리고 표준 분포 곡선을 그려서 각 단어들을 찾아내겠죠. (인공지능이 분석해서) ‘사람들이 가장 원하는 정책은 이거구나’라고 이야기하겠죠. 그런데 그럴 때 걱정되는 부분들이… 이게 항상 옳지는 않아요. 지금의 정치인들이 ‘국민보다 더 옳은 생각을 해야지’,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국가 장래를 위해서 이렇게 해야지’ 등의 생각을 하지 않잖아요. 그 점에 있어서는 인간이 정치를 하나… 이것을 학습한 인공지능이 정치를 하나… 그 수준은 똑같을 거예요.
Q. 그러면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도 국민 목소리를 귀담아 듣지 않는 정치인들이 계속 정치를 하게 되는 걸까요?
인공지능 시대에는 정치인이 지금과 같은 이력으로 되지는 않을 것 같아요. 많은 법조인들이 법을 만들려고 정치 쪽(국회)으로 가고 있는데요. 이제는 (인공지능에) 내가 원하는 법과 관련된 어떤 키워드를 던져주면, 인공지능이 그 법을 만들어줄 수 있거든요. 법도 체계가 있잖아요. 그런 시대가 되면 유권자들이 국민 생각을 그대로 반영할 것 같은 사람을 뽑겠죠. 아직까지는 정치는 공부도 잘하고, 똑똑하고, 경험 많은 사람이 해야 된다는 생각을 많이 하는데, 나중에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게 된다면 사람들은 그 사람의 경험과 학식이 아닌, 우리 마음을 반영할 사람을 찾겠죠. 지금 정치인들은 유권자의 생각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읽고 그러지 않잖아요. 정당 내 역학적인 생각을 더 많이 하고 있을 텐데… 아마도 지금의 정치인들은 살아남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Q. 그러면, 인공지능 시대에 정치 체계와 민주주의는 어떻게 바뀔까요?
정보화가 진전될 때마다 민주화도 그만큼 이뤄졌어요. 인공지능 시대가 되면 우리 민주화도 그만큼 더 성장하겠죠. 그러니까 민주주의에 대한 생각이 예전보다 더 깊어져야 되는 거죠. 예전에는 한 표를 행사하는 것만으로도 내가 민주주의를 다 이뤘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죠. 직장 안에서도 그렇고, 가정과 학교 안에서도 그렇고… 어떤 정책이 만들어질 때도 내 생각이 반영되길 바라죠. 지금은 (양당의) 국회의원들이 A·B 두 개의 안을 놓고 싸우는데, 사실 두 개가 아니라 백 개의 안이 있을 수 있거든요. 나머지 아흔여덟 개 안은 거론조차 되지 않고 있는데, 인공지능 플랫폼 안에서는 우리 사회 소수의 (정책)안도 숙의와 토론 과정 속에서 세를 불려 나가다가 보면 마지막 과정까지 올라갈 수 있어요. (기술로) 그런 플랫폼을 만드는 게 지금 우리의 지금 과제죠.
Q. 인공지능이 민주주의 위기를 불러 올 수도 있나요?
사람들이 인공지능 플랫폼에 접근하지 못하는 상태로 발전하면 우리는 기술 권력에 종속될 수 있어요. 인공지능이 기업이나 기술자의 소유가 아니라 전체 사회의 소유가 되어야 될 필요가 있는 거죠. 시민들이 ‘내가 인공지능 플랫폼의 결정권을 갖겠어!’라고 생각하고 그런 법을 만든다면 민주주의는 더 발전할 것이고 그게 아니면 인공지능은 민주주의 위기를 가져올 수 있겠죠. 양면성이 큰데요, 지금 세대에게 달려 있는 것 같아요. 인공지능을 이용해 안전하고 안심하게 살 것인지, 아니면 어떤 기업과 기술자에게 종속될 것인지를 지금 세대가 결정해야죠. 그렇지 않으면 다음 세대는 이미 늦어버려요. 그 시스템에 갇힐 수가 있어서. 그래서 지금은 민주주의 위기이기도 하지만, 민주주의를 한 번 더 딛고 올라갈 수 있는 좋은 기회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Q.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민주주의를 잘 가꿔가려면 우리는 어떻게 이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야 할까요?
이제는 ‘사이언스 리터러시(Science Literacy)’가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해요. 20세기는 그냥 ‘리터러시’가 필요했어요. ‘문해력’이죠. 내가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으면 문화인·교양인으로 살 수 있었어요. 그런데 21세기에는 읽고 쓰는 것에 그치지 않아요. 일상에서 과학과 기술을 벗어나서 살 수가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어떤 원리로 작동을 하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어야 되는 거죠. 20세기에도 읽고 쓰지 못 하는 사람들의 삶은 상당히 노예적일 수밖에 없었어요. (글을 몰라서) 계약서를 쓰지 못하고, 계약서를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했잖아요. 앞으로는 우리가 결정하는 많은 것들이 인공지능 틀 속에 있을 텐데, 프로그램을 짜지는 못하더라도 ‘인공지능 메커니즘(mechanism)’은 이해하고 있어야 해요.
존스홉킨스대학교, 조지아공과대학교, 워싱턴대학교 연구원들이 지난 6월 'ACM FAccT'라는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이 있는데요, 인터넷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 로봇’에게 사람의 얼굴 사진을 제시하고 ‘범죄자’를 골라 상자 안에 넣게 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로봇이 반복적으로 ‘흑인’을 골라냈다고 합니다. 또, ‘주부’를 고르라고 하니까 ‘여성 사진’을, ‘경비원’을 찾아내라고 하니까 ‘동양인 사진’을 선택해 상자에 넣었다고 합니다. 사람들의 편견과 편향성을 인공지능이 그대로 학습한 건데요.
▲인공지능 로봇이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했다는 존스홉킨스대학교 학내 기사. 출처/존스홉킨스대학교 홈페이지
지금의 정치판을 학습시켜서 ‘AI 정치인’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AI 대통령’은 국정운영 방식을 놓고 우왕좌왕하고 있을 거고, ‘AI 여당’은 지도부 공백과 당내 분란으로 혼돈에 빠져있겠죠. ‘AI 야당’은 팬덤 정치에 갇혀 있지 않을까요? 인공지능의 거울이 되는 ‘인간 정치인’이 바른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 한, ‘AI 정치인’에게 기대할 건 없어 보입니다. 개발자와 자본가들이 인위적으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손을 댈 수는 있겠지만, 그건 또 다른 ‘개입의 문제’를 가져오겠지요.

‘인공지능’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 ‘딥 러닝(Deep Learning)’이라고 합니다. 풍부한 데이터와 정답을 입력하면 기계가 ‘규칙’을 찾아가는 걸 말하는데요, 진정한 ‘대의 민주주의’와 ‘숙의 민주주의’를 구현하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인공지능시대에 살아남으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정치인을 포함해 우리가 깊게(Deep) 공부(Learning)를 했으면 합니다. 디지털 문해력을 갖고! 민주적이고 공정하고 상식적인 인공지능을 만드는 일은 결국, 우리의 몫이니까요.
SDF다이어리를 보시고 소중한 의견이 떠오르셨다면 sdf@sbs.co.kr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전체 목록

SDF다이어리를 빠짐없이 받아보세요!